주식이 박살나서 계좌도 아프고 물가도 박살나게 올라 점심 사먹기도 겁나지만ㅠㅠ
프로 예적금러에게 반가운 소식, 아무래도 다시 예적금 시대가 돌아온 것이 분명하다.
미국에서 기준금리인상, 빅스텝이니 자이언트 스텝이니 -> 그러면 우리나라도 안 따라갈 수 없고
-> 기준금리를 올리면 -> 1금융 2금융 할것없이 따라가야 하는 흐름
(기준금리와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또 공부해서 올려봐야지)
아무래도 그리고 1금융보다는 2금융 은행들이 (새마을금고 / 신협 / 저축은행) 이 예적금 금리가 높을 수밖에 없긴 한데
예적금 측면에선 이걸 또 잘 활용하면 개이득이잖아?
오랜만의 본격적인 금융 포스팅 - 오늘은 새마을금고 편을 준비해보았다.
[장점]
1. 상상모바일통장 하나 온라인으로 만들어놓으면 전국 금고의 예적금 가입이 가능하다.
상상모바일 통장은 MG더뱅킹 앱으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.
아무 곳이나 선택해도 무방한데 나는 집에서 제일 가까운 곳으로 대충 만들었음.
이런식으로 지도의 각 시/도를 찍으면
구별/시별 좀 더 작은 단위로 금고별 금리를 볼 수 있다.
예시로 한 페이지를 캡쳐해 보았다. (해당 지역 주민도 아니고, 가입자도 아님. 당연히 광고도 아님)
서울의 경우 동작 / 성동 / 광진구 쪽, 전국적으로 봤을때는 대구광역시, 제주도 등등이 이율이 꽤 괜찮았던 걸로 기억.
(그때그때 달라질 수 있음에 주의)
요즘은 그냥 귀찮기도 하고, 그럴리 없지만 혹여나 뭔 일이 생기면 방문할 수 있는 거리 범위인
서울 주변을 벗어나지 않고 있긴 한데
한때는 높은 금리 찾아 타 지역까지 막 넘어가서 가입했었음.
사실 예전 앱에서 최고금리 보여주는 기능이 너무 좋긴 했는데, 이러면 최고 금리 1페이지에 뜨는 곳들로만 몰려간다나
하여간 왜 없앴나 모를 기능..;
2. 각 금고별 제시 금리에 우대금리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데 이 조건이 크게 어렵지가 않다.
우대금리 포함해서 최대 nn% 이런식으로 광고하는 경우가 많고
그 우대금리 조건에 이제 카드 사용 발급 이런거 끼어 있으면 킹받는 경우가 많다.
근데 이런거 전혀 아님.
우대금리 조건이 전국 공통인 것으로 보인다 가입할때마다 다 똑같았음.
페이지 캡쳐 떠서 가져옴.
스마트 알림 앱이 별도로 있어 설치하기 조금 귀찮지만 깔고 한 번 정도는 클릭해줄 수 있으니까 ㅇㅋ
만기자동이체는 가입할 때 선택 하면 되고..
이체거래는.. 다른 예적금 가입할 때나, 아니면 그냥 천원 정도 갖고 와리가리 손품 몇번 해줘도 그만
적금도 자동이체 설정이야 해주면 되는 거고..
적금 마지막 1개월 내 상품 추가 가입이 좀 걸리긴 한데, 이거 스킵해도 0.5% 중 0.4%를 챙길 수 있음
글을 작성하고 있는 2022년 7월 24일 현재 예금 3.15% / 적금 3.89%가 최고 금리로 보인다.
정기예금 3.15% + 0.3% = 3.45%
정기적금 3.89% + 0.4% = 4.29%
로 꽤 준수한 이율을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음.
(자유적금도 있지만, 이율이 낮아서 굳이..)
20일 제한이 걸려서 새 계좌를 틀 수 없거나, 맘에 드는 상품을 찾지 못하는 경우,
이율 높은 적금 찾겠다고 손품 팔기조차 극도로 귀찮은 경우 주로 이렇게 가입하는 편.
3. 각 금고별 5천만원 예금자 보호 적용
예금자보호법 적용 대상은 아니지만, 예금자보호 제도를 새마을금고법에 만들어놓았다.
보호 한도는 은행과 마찬가지로 5천만원(원금+이자) 까지인데,
신기하게도 이게 "금고별로" 적용이다.
이미지 출처 - 새마을금고 홈페이지가 하도 설명을 잘 해놔서 가져옴
1금융만큼은 아닐지 몰라도, 2011년 저축은행 파산사태처럼
새마을금고가 전국적으로 우수수 다 망할 확률은.. 많이 높지 않을 것 같다.
대신 경영공시 확인해서 영 부실한 곳에 5천만원 이상을 묶진 말아야겠지.
아, 부실한 곳인지는 어떻게 확인하냐고?
새마을금고 홈페이지 > 사업안내 > 정기공시 에 매년 6/12월마다 정기 공시자료가 업데이트된다.
현재 대부분 2021년 12월 자가 최신인 듯. 곧 2022년 6월 올라오겠지..?
금고명으로 검색해서, 뭐가 되게 내용이 많은데 대충 넘기고 31번 경영실태평가 만 확인해도 된다.
예시로 현재 소액의 예금이 묶인 곳의 정보를 하나 가져옴.
그외에도 2021.12.31 기준 데이터로 현재 가입중인 곳 모두 1등급이군 휴우 다행 (사실 글쓰기전에 확인 안해봤었음)
[단점]
1. 출자금 온라인으로 가입 불가 - 무조건 지점 방문인 듯
출자금 가입하면 전체 본인의 금융계좌 통틀어 3천만원까지 저율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,
이게 온라인으로 도무지 메뉴가 안보인다.
우대세율 14%로 농특세 1.4%만 내고, 이자소득세가 면제되는데 이게 꽤 큰 차이다.
네이버 예금계산기만 돌려봐도 느낌이 확!
똑같은 3% 예금 1000만원이라고 가정했을 때
저율과세 혜택을 받을 때(왼쪽)와 못 받을때 (오른쪽) 치킨 2마리 정도 이자가 차이 난다.
이율이 높을 경우 그 차이는 더 커질 것이고 말이다.
(숫자 지저분해지는 게 싫어서 그냥 이렇게 계산함. 요즘 사실 3%는 1금융 주거래은행에도 널린 것)
그리고 내 직장/집 동네의 경우,
새마을금고가 멀리 있음 + 저율과세 혜택을 감안해도 이율이 너무 낮아서 큰 메리트가 없다.
동네 새마을금고 이율이 괜찮게 뽑히는 곳이고, 출자금 최소금액이 높지 않은 경우
(보통 최소 5만원~10만원 정도로 알고있음)
충분히 방문해서 출자금 내는 불편을 감수할 만도 한데 그런 불편 감수할 만한 장점이 없음..
출자금 안 내고 저율과세 혜택을 못 받고 있음.ㅠㅠ
2. 예금 금리가 우대금리 감안해도 아직 충분히 올라오지 않은 것 같다.
옆동네 금리랑 너무 비교되는 부분이고, 사실 예금은 1금융이랑도 이제 맞먹을라 함...ㅠㅠ
잘하자.
* 절대 투자 / 가입 권유 아님. 고기만두 아무 관련 없는 일 하고 있으며 상품 가입은 본인의 책임임.
'mone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BK기업은행 중금채 (중소기업금융채권) - 1금융 은행 예금/적금과 똑같은데 이율이 더 높다? : 채권투자의 시작 (4) | 2022.07.26 |
---|---|
다시 예적금 시대 2 - 신협 출자금 개설하고, 전국구로 저율과세 혜택 편하게 받기 (0) | 2022.07.25 |
2019 청년내일채움공제 3년형 만기: 그런데 회사가 중간에 대기업이 된다면? (대기업변경 회사귀책사유) (0) | 2022.07.04 |
알라딘 중고서점 _ 회원에게 팔기로 중고책 처분 후기 - 알라딘 오프라인보다 낫다! (0) | 2022.05.29 |
마법의 연금 굴리기 - 미래의 나에게, 연금저축 ETF 포트폴리오 (0) | 2022.05.2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