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www.mk.co.kr/news/realestate/10679289
“오빠 아파트 질렀다”…30대 ‘내집 마련’ 늘어났다는데 [부동산 라운지] - 매일경제
최근 3개월새 매입 10% 늘어 “아파트값 급등기때 학습효과 떨어지자 기회삼아 먼저 나서”
www.mk.co.kr
오빠 차 뽑았다 패러디인건 알겠으나, 왜 아파트를 오빠만 사는것처럼 타이틀을 뽑는건지 조금 마음에 들지 않지만
1. 기사요약
부동산 침체가 이어지고 있지만 30대 매수세 증가
: 고점대비 20~30% 호가가 낮아진 급매물들이 나왔는데, 이를 실거주 목적의 30대들이 매수.
SVB 사태로 금리 인상에 대한 리스크는 줄었지만, 여전히 경기 침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
그리고 초-급매물은 사실 이미 다 팔려서 추격매수 주의 필요.
2. 용어정리
1) LTV : Loan To Value Ratio, 주택담보대출비율
보통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인정되는 부동산의 가치 대비 얼만큼의 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한 것.
예를 들어 10억짜리 집의 LTV가 70%이면 7억을 대출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.
규제지역과 비규제지역에 따라 비율이 다르게 계산됨.
*cf)특례보금자리론
주택금융공사에서 2023년 1월말에 새로나왔는데
소득 상관없이 9억이하 주택을 LTV 80%(DTI 60%) 를 적용하되 / 최대 5억까지 / 연 4% 고정금리로 대출해주는 상품
다른 대출의 경우 보통 아파트의 LTV를 70% 정도로 산정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이런 게 대상이 되면 탑승하는 게 이득
2) DTI : Debt to Income, 총부채상환비율
연간 상환해야 하는 주택담보 대출의 원리금이 총소득 대비 몇 %인지 나타낸 비율.
금융부채의 상환능력을 소득으로 따져서 대출 한도를 정함
(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+기타 대출 이자 상환액)/총소득
https://xn--989a00af8jnslv3dba.com/DTI
부동산계산기
부동산계산기 DTI DSR LTV 등기수수료 법무사수수료 공인중개사 중개수수료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양도소득세 공동명의 임대수익률 대출가능액
xn--989a00af8jnslv3dba.com
실제 은행에서의 계산과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
내 연봉과 대출받고 싶은 금액, 기간, 기타부채, 상환 방식, 금리 등을 입력하면
DTI를 계산해주는 페이지를 공부하다 찾았다.
그 외에도 다른 대략적인 세무 계산 기능이 지원되는 듯.
물론 자세한 건 은행이나 세무사 회계사 등과 상의해야 겠지만?
3) DSR : Debt Service Ratio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
연간 상환해야 하는 모든 부채의 원리금이 총소득 대비 몇 %인지 나타낸 비율.
1년간 버는 소득 대비 갚을 수 있는 금액.
학자금대출, 차량 할부, 마통, 카드론 등등 내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모든 빚이 포함됨.
(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+기타 대출 원리금 상환액)/총소득
그럼 여기서 질문.
만약 김치만두씨의 연봉이 3,000만원이고, 정부가 DTI를 50%로 내렸다면 이 사람은 연간 얼마까지 빌릴 수 있나요?
주담대를 30년으로 했다면 최대 얼마까지 빌릴 수 있나요?
(다른 기대출건이나 이자 신경 일단 쓰지 말고 원금만 단순 계산해주세요)
=> 3천만원 * DTI 50% = 연 1500만원 빌릴 수 있고 주담대가 30년이면 1500만원 * 30년 = 4억 5천만원
정확한 수치는 타겟 동네와 집을 정하고 은행가서 확인해보는게 빠를 것 같지만
결론은 집을 등기치는 순간까지 일을 열심히 하고 기회가 된다면 이직을 통해 연봉을 열심히 올리고,
빚은 없는 상태로 유지해야겠다!
(사실 나는 갑자기 뭐 크게 망하거나 이런게 아니면 당분간 다른일로 대출받을 일이 있을 것 같지는 않다)
'money > realEstat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분양받은 아파트의 중도금 상환 계획 세워보기 - 최근 청약 아파트를 샘플로 하여 (0) | 2023.04.18 |
---|---|
전용면적, 공용면적, 용적률, 건폐율 : 부동산 정보를 읽어내기 위해 알아야하는 면적관련 정보 용어 (0) | 2023.04.17 |
분양가 상한제와 분양권에 대하여 - 새 아파트에 살고 싶다면 or 청약 당첨을 꿈꾼다면 알아야 할 것 (0) | 2023.04.16 |
갭투자와 청약 분양 : 구축 시세보다 싸게 집을 사는 방법 2가지 (0) | 2023.04.15 |
부동산에 관련된 돈 문제에 대하여 : 보유세 / 재산세 / 종합부동산세(종부세) / 공시가격 / 공정시장가액 (0) | 2023.04.14 |
댓글